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6. 6世 〉54. <광양공>통정대부행천안군수공휘개보묘갈명通政大夫諱介甫墓碣銘(並書)
1. 문헌 목록 〉6. 6世 〉56. <태사공>사인공휘응유사(舍人公諱膺遺事)
1. 문헌 목록 > 6. 6世 >  
55.<광양공>증가선대부병조참판행광양현감공묘갈명(贈嘉善大夫兵曹參判行光陽縣監公墓碣銘)
贈嘉善大夫兵曹參判行光陽縣監公墓碣銘 余嘗讀勝國遺史記得忠獻趙公歛退淳化餘慶之繁衍久矣今因遺裔洪基以光陽公碑文見屬謹按趙氏軒冕世族也有曰洪珪麗朝版圖判書一傳而諱佺文科追封府院君再傳而曰門下侍中玉川府院君諱元吉諡忠獻世稱農隱先生寔公三世而妣曰郡夫人金氏籍扶餘農隱五胤公居三而諱瑾董玉字也粤自弱冠志氣卓犖不尚其循蹈永樂乙酉間質諸副正兩兄曰身無舊職時際熙運欲一出而展施不甚謬戾乎否雖以二公之獻靖識其大志俱曰可矣因一試輒中遂至通訓大夫出監光陽縣聲績方溢聞一疑軋生逌然解紱賦歸優游以卒歲迺葬於峨嵋山嶝洞負兌之原配淑人安東金氏父司直啓愠用周人禮祔合于左後因公參判 贈典依例封貞夫人蓋公之孝悌家風本然一縣遺愛寔所餘事而性氣亢直馬跡未嘗一印於薰門由是不得一展抱而竟止於斯識者有發喟焉育一男介甫文郡守學者稱退菴先生女適敎授曺致善郡守娶南陽洪氏左贊成義之女生四男孟謙號慕巖仲謙參奉仁謙壽職階嘉善季謙司直慕巖后孫曰相泰庸燮參奉后孫曰敬基洪基嘉善后孫曰在信司直后孫曰淵柱儘賢勞于先也値此懷襄陵谷方幻慨然乎舊碑無文更伐雲根而嗟公嘉言懿行無由考徵是可於邑也已特擧可信可據遂爲之銘曰 龔大夫舍赴泰山衙曰夫王者天下爲家一言有當漢史是彰矧公所遇聖運肇昌試諸一縣克濟其美大志未展由何奸宄嵋壑窈窕有崇四尺脱欲知公視此貞刻 朴經遠 撰 증가선대부병조참판행광양현감공휘근묘갈명(贈嘉善大夫兵曹參判行光陽縣監公諱瑾墓碣銘) 내가 일찍이 고려의 유사(遺史)를 읽어 충헌 조공(趙公)이 순창에 은거하여 자손이 번창하다는 것을 안 지 오래이다. 이제 그의 후손 홍기(洪基)를 인연하여 광양공의 비문을 부탁받았다. 삼가 상고하건대, 조씨는 훌륭한 집안으로 홍규(洪珪)는 고려 때 판도판서요 一대를 내려와서 휘 전(佺)은 문과에 급제하여 부원군에 추봉되었다. 재전하여 문하시중 옥천 부원군 휘 원길(元吉)은 시호가 충헌(忠獻)인데, 세상에서 농은선생(農隱先生)이라 부르니, 이 분들이 바로 공의 三世조이다. 비(妣)는 군부인(郡夫人) 김씨로 부여(扶餘)가 본관이다 농은은 다섯 아들을 두었는데, 공은 세 번째로 휘는 근(瑾)이요, 근옥(堇玉)은 자이다. 약관 시절부터 지기(志氣)가 뛰어나 세속을 따르지 않았다. 그렇다, 영락(永樂) 을 유년(一四○五) 사이에 두 부정(副正) 형에게 묻기를, 「저는 전조에 별다른 관직을 지내지 않았고, 이제 성대한 시대를 만났으니, 한번 벼슬에 나가 포부를 펴는 것도 크게 잘못된 일은 아니지 않겠습니까?」 하니, 비록 두 형들은 절의를 지키고 있었으나, 그가 큰 뜻을 품고 있는 것을 알고는 다 함께 옳다고 승낙하였다. 그래서 한번 시험을 보아 단번에 합격하여 마침내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이르고 광양현감(光陽縣監)으로 나가 치적을 한창 올린다고 알려는데, 갑자기 한 가지 의심스러운 일이 있어 흔연히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 한가롭게 지내다가, 세를 마치니 아미산(峨嵋山) 등동(嶝洞) 부태(負兌) 언덕에 장사하였다. 배(配) 숙인(淑人)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아버지는 사직(司直) 계온(啓愠)이다. 주 (周)나라 사람의 예에 따라 부좌(祔左)하였다. 후에 공이 참판에 추증됨에 따라서 정부인(貞夫人)에 추증되었다. 대개 공의 효제(考悌)는 본래 가풍(家風)이며, 한 고을에 남긴 인애(仁愛)는 여사(餘事)에 불과했다. 성품이 강직하여 일찍이 한 번도 권문세가를 찾아보지 않았기 때문에 포부를 한번 펴보지도 못하고 거기에서 벼슬이 그치게 된 것을 식자들이 탄식했다. 아들 하나를 두었으니, 개보(介甫)로 문과 군수(郡守)인데 학자들이 퇴암선생(退菴先生)이라 부른다. 딸은 교수(敎授) 조치선(曹致善)에게 출가하였다. 군수(개보)는 남양홍씨(南陽洪氏) 좌찬성(左贊成) 의(義)의 딸에게 장가들어 아들 넷을 두었는데, 맹겸(孟謙)은 호가 모암(慕巖)이요, 중겸(仲謙)은 참봉, 인겸(仁謙)은 수지(壽職: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내리는 벼슬) 가선대부(嘉善大夫)이며, 계겸(季謙)은 사직(司直)이다. 모암공의 후손은 상태(相泰)·용섭(庸燮)이며, 참봉의 후손은 경기(敬基), 홍기(洪基)이다. 가선대부의 후손은 재신(在信)이며, 사직의 후손은 연주(淵柱)인데, 모두 조상의 일에 헌신적인 사람이다. 이런 어지러운 때를 만나 상해가 변환하고 구비(舊碑)에 비명(碑銘)이 없어 다시 비석을 세우고자 한다. 그러나 아깝게도 공의 아름다운 언행이 고증할 만한 것이 없으니 참으로 통탄할 일이다. 특별히 믿을 만하고 의거할 것만 가지고 다음과 같이 명한다. 공대부 사가 龔大夫舍 태산의 아문에 이르러 赴泰山衙 대저 왕자란 曰夫王子 천하를 집으로 삼는다 하였네. 天下爲家 그 한마디 참으로 당연하여 一言有當 한사에서 기렸네. 漢史是彰 하물며 우리 공은 矧公所遇 성운이 처음 창성할 때 만나 聖運肇昌 시험삼아 한 고을 맡아 試諸一縣 참으로 잘 다스렸네. 克濟其美 큰 뜻을 다 못 펴 大志未展 어찌 간사함 만났나 由何奸宄 아미산 깊은 골짜기 嵋壑窈窕 네자 비석 섰으니 有崇四尺 행여 공을 알고자 하거든 脱欲知公 이 비석 보게나 視此貞刻 박경원(朴經遠) 지음
 
1. 문헌 목록 〉6. 6世 〉54. <광양공>통정대부행천안군수공휘개보묘갈명通政大夫諱介甫墓碣銘(並書)
1. 문헌 목록 〉6. 6世 〉56. <태사공>사인공휘응유사(舍人公諱膺遺事)